카테고리 없음

케인즈는 왜 프로이트를 숭배했을까?

dajudd 2024. 1. 29. 11:45


저자의 박식함과 더불어 내용의 명확성은 좋은 책의 조건이다.안타깝게도 이책은 모래알같이 흐트러진 단순 사실을 나열한책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각 장 끝에 첨부되어 있는 원문은 내용의 불명확성을 원문으로 끌어다 숨기려는 듯해 보는 이를 불편하게만 한다. 경제학 관련 서적이면서도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를 시도 했지만알렝드보통 같은여느 프랑스 저자의 재치같은 것은 찾아 볼 수 없다.전체 내용과 연관성 없어 보이는 책 제목마저 읽는이를 혼란시킬 뿐이다.
경제학이 정작 풀어야 하는 문제는 복잡한 수학공식이 아니라 바로 자본주의가 초래한 인간의 불행을 설명하는 것이라 주장하는 독특한 대안경제학 에세이다. 이 책은 풍부한 인용과 프랑스 지식인 특유의 풍자적 시선을 통해 전지구적 자본주의가 신봉해 마지않는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왜 모순으로 가득 찼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더불어 경제현상을 제대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경제학뿐 아니라 역사학, 인류학, 심리학을 비롯한 총체적 통합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케인즈와 프로이트라는 두 중심축을 바탕으로 경제학에 대한 저자의 문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해 니콜라스 게오르게스쿠로겐과 과학기술의 사상가들(자끄 엘륄, 베르나르 샤르보노와 이반 일리치)의 주장들을 인용하고 이전의 경제학자들이 계산의 틀에 갇혀 생각하기를 꺼려했던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있다.


들어가며
서론 기대수명
제1장 왜 자본주의는 유럽에서 발생했을까?
제2장 기업가란 누구인가?
제3장 종교는 자본주의와 공생 가능한가?
제4장 위험사회 또는 새로운 금융 자본주의
제5장 자본가와 학자, 또는 공짜가 어떻게 돈을 만들어내는가?
제6장 특허는 발명을 가로막는가?
제7장 협력의 반격
제8장 P2P
제9장 케인즈의 정신 분석학 - 돈
제10장 케인즈의 정신분헉학 - 공포
제11장 호모에코노미쿠스의 불행 : 자발적 예속
제12장 자본주의의 핵심, 죽음 충동
제13장 경제와 환경 내가 엄마를 살해한 방법
결론 오는 정, 가는 정
보너스 경제학의 수사학